로고

KR

커뮤니티

주식회사 NF는 환경과 고객의 소중한 건강을
지키기위한 노력을 아끼지 않습니다.

REFERENCE

자료실

고농도 산소 공급에 따른 공간지각능력과 언어지각능력 변화에 관한 뇌기능 연구

페이지 정보

작성자 엔에프
조회 974회

본문

출처 : 국회전자도서관-고농도 산소 공급에 따른 공간지각능력과 언어지각능력 변화에 관한 뇌기능 연구(김익현) (서울 : 건국대 대학원, 2005.5, 학위논문(석사)-의공학)

 

실험 방법

1. 일반 공기 중의 산소 농도인 21%의 산소와 30%의 고농도 산소를 각각 8L/mim의 양으로 일정하게 공급할 수 있는 산소 공급 장치를 개발하여 실험 참여자에게 전달

 

2. 실험에 참여하기 전 실험 참여자들은 실험에 대한 전반적인 설명을 듣고 문제 유형을 익히기 위해 연습문제를 풀어 보도록 하였다. 산소 농도 21% 일 때 A양식의 문제를 풀었던 실험자들은 산소농도 30% 일 때 B양식을 풀도록 하였고, 산소농도 21% 일 때 B양식의 문제를 풀었던 실험자들은 산소농도 30%일 때 A양식을 풀도록 하였다.

 

 

결과

공간 지각 과제 실험 결과 21%에 비해 30% 산소농도에서 8명의 실험 참여자 중 7명의 실험 참여자가 정답률이 높게 나왔고, 1명은 동일하게 나왔다. 공각 지각 과제 평균 정답률은 21%30% 산소 농도에서 각각 50.63±8.63% 62.50±9.64% 이었다. 언어 지각 과제 실험 결과 21%에 비해 30% 산소농도에서 9명의 실험참여자 중 6명의 실험참여자가 정답률이 높게 나왔고 3명을 동일하게 나왔다. 언어지각과제 평균 정답률은 21%인 경우 52.77±15.53%이고 30%의 산소농도일 때는 63.08±12.49%이었다. 그림 10, 11과 같이 공간지각 과제와 언어지각과제 정답률에서 21%30%산소농도간의 통계적 유의차가 발생하였다.


35b2aa2ed7d93dcfd292c8da1ef47970_1623137556_8763.png    35b2aa2ed7d93dcfd292c8da1ef47970_1623137558_8634.png

 

fMRI(뇌에 자극을 주고 그에 대한 반응을 MR을 이용해서 영상을 만드는 방법) 결과

그림12에서와 같이 산소농도 21%30%에서 각각 공간 지각 과제를 수행하였을 때 활성화되는 뇌 영역을 동일하나 그림 13은 이중 감산방법(30% 산소농도에서 인지과제를 풀 때 활성화 되는 영역과 21% 산소농도일 때 활성화 되는 역역의 차이)으로 30%의 산소를 공급하였을 EO 21%의 산소를 공급하였을 때 보다 더 많은 활성화가 일어나는 영역을 보여준다. 양측 전두엽 영역, 왼쪽 전두엽 영역, 양측 소뇌에서 활성화 차이가 나타났다.


35b2aa2ed7d93dcfd292c8da1ef47970_1623137671_5501.png     35b2aa2ed7d93dcfd292c8da1ef47970_1623137671_5932.png
 








 


 

첨부파일